케이부동산뉴스 김교민 기자 | 환율이 연일 1,470원을 넘나들며 서민경제는 한계선에 몰리고 있다. 외환시장 불안에 고금리·고물가까지 겹쳐 도민들은 생계를 지키기 위해 하루하루 버티는 상황이다.
지금은 어떤 논쟁보다도 민생이 우선돼야 할 시기다.
그러나 이러한 비상 국면에서 경기도지사 비서실장 등 핵심 정무라인은 정작 경제 현안보다 정쟁에 더 깊이 매몰된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지사 비서실과 정무라인이 행정사무감사 출석을 집단적으로 거부하며 의회를 마비시킨 최근의 사태는, 경제 위기 앞에서 도정이 어떤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지를 그대로 보여준다.
긴급한 민생 과제는 뒷전으로 밀려나고, 불필요한 갈등과 대립이 도정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김동연 지사는 문재인 정부에서 대한민국 경제사령탑인 기획재정부 부총리를 지낸 인물이다.
그에게 도민들이 기대했던 것은 복잡한 정치적 지형을 헤집는 기술이 아니라, 경제 위기 속에서도 실질적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전문성과 균형감이었다.
경기도는 1,420만 도민이 삶을 일구는 전국 최대의 생활권이자, 대한민국 경제의 허리를 지탱하는 핵심 광역단체다.
민생경제 활성화, 서민·중산층의 주거 안정, 경기침체 속 가계 부담 완화, 지역경제 생태계 회복 등 해결해야 할 과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국가 경제와 직결되는 이 다양한 현안들을 안정적으로 끌고 갈 도정 리더십의 무게는 지금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
그러나 현실은 기대와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지사 비서실장과 정무라인이 의회와의 불필요한 갈등을 스스로 유발하며 도정 전체를 정쟁의 소용돌이 한가운데로 끌어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경기도정은 점차 본연의 기능과 무게 중심을 잃어가고 있다.
민생을 떠받치는 행정력이 흔들릴 때, 그 충격을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깊게 감당해야 하는 이는 다름 아닌 도민이다.
지금 경기도에 필요한 것은 정치적 대립이 아니라, 경제 위기를 정면으로 돌파할 책임 있는 리더십이다.
정무라인의 집단행동으로 행정사무감사가 무산된 이번 사태가 갖는 상징적 의미를 김 지사는 결코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된다.
이것은 단순한 절차상의 하자가 아니라, 지금의 도정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운영 철학이 무엇인지 묻는 본질적 질문이기 때문이다.
특히 광역단체장은 중앙정치의 종속적 플레이어가 아니다.
중앙정부와는 협력할 것은 분명히 협력하되, 필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도민의 이익을 기준으로 견제하고 대안을 제시해야 하는 책임 있는 행정 리더다.
그것이 바로 ‘균형 잡힌 경제 전문가’라는 평가를 받아온 김동연 지사에게 도민이 기대한 역할이었다.
최근의 갈등 상황을 둘러싸고 정쟁을 증폭하는 일부 공무원 단체나 지역 언론의 태도 역시 아쉬움을 남긴다.
민생의 무게가 날로 커지는 시점에 갈등을 더욱 키우는 행동은 결국 도민의 피로감만 높일 뿐이다.
지금 이 시점에서 필요한 것은 목소리의 크기를 키우는 일이 아니라, 도정을 안정시키고 경제 회복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는 책임 있는 역할이다.
경제가 흔들리는 순간, 그 어떤 정치적 구호도 도민의 삶을 지켜주지 못한다.
지사에게 향했던 도민의 기대가 더 이상 실망으로 돌아서지 않도록, 지금이라도 도정의 중심을 민생과 경제에 두는 근본적 전환이 필요하다.
정쟁은 정치가 하지만, 경제는 결국 도민의 삶 그 자체다.
경기도민이 바라는 것은 정치적 갈등의 확전이 아니라, 흔들리는 경제를 다시 세우는 책임 있는 행정이다.
그 바람이 더 이상 실망으로 돌아가서는 안 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생계를 지키기 위해 묵묵히 버티는 도민들이 있다는 사실을,
그리고 그들의 기대야말로 도정이 존재하는 이유임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며 글을 맺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