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부동산뉴스 김교민 기자 |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장민수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7일 열린 제387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미래평생교육국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 청년정책의 실효성 제고와 지속 가능한 추진체계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장민수 의원은 “청년 관련 정책은 그 어느 분야보다 현실이 복잡하고 입체적이라 한정된 예산 속에서 어떻게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낼지에 대한 지혜가 절실하다”며 “청년들의 삶을 직접 개선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장 의원은 “3년 차를 맞은 청년기회패키지는 그동안의 경험과 데이터가 충분히 축적된 만큼, 이를 바탕으로 한 질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좋은 정책은 단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도지사가 바뀔 때마다 청년정책이 새로 시작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경기도의 대표 정책으로 자리 잡은 청년기회패키지가 제도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도록 지속성과 연속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장 의원은 청년정책의 핵심 가치로 ‘참여’를 꼽으며 “청년정책의 기본은 참여이며, 청년참여기구가 단순한 형식적 운영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년들의 의견이 정책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경기도와 시·군 간 협력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특히 지역별 청년정책 역량의 격차를 경기도 차원에서 어떻게 해소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중간지원조직인 경기도미래세대재단이 이러한 시·군 간 격차를 완충하고, 정책 간 연계와 협력을 조정하는 핵심 축으로 기능해야 한다”며 “청년정책조정위원회와 참여기구, 재단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실질적인 정책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청년공간은 단순한 모임의 장소가 아닌, 청년들이 지역사회 안에서 성장하고 교류할 수 있는 중심 거점으로 기능해야 한다”며 “경기도가 청년공간의 활성화 방안을 주도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미래평생교육국장은 “청년공간 평가 지표를 개편하고, 청년들이 공간을 더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겠다”며 “전문가와 협의해 내년도부터 개선안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끝으로 장 의원은 “청년정책은 단기적 성과보다 지속적인 축적과 개선이 핵심이다”며 “경기도가 청년들의 실제 삶을 바꾸는 정책을 통해 전국의 모범이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